캐나다의 국민 화가인 모드 루이스의 실화를 담은 영화 <my love>는 장애를 갖은 여자가 특별한 예술적 재능을 꽃피우는 성공담과 그녀의 순수한 사랑을 담은 로맨스 영화이다. 장애는 있지만 따뜻하고 순수한 마음을 가진 여자인 모드와 몸은 건강하지만 결핍된 정신을 가진 에버렛이 서로를 사랑으로 보완하는 모습은 눈물 없이는 볼 수 없을 정도로 감동적이다.
일을 구하는 장애인 여자
캐나다 노바스코샤 마을에 사는 모드(샐리 호킨스)는 관절염을 앓고 있는 젊은 여자입니다. 모드는 마트에서 우연히 가정부를 구한다는 생선 장수 에버렛(에단 호크)의 공고를 보고, 그녀는 그동안 살던 숙모의 집을 떠나 에버렛의 집으로 향합니다. 에버렛은 모드의 비쩍 마른 몸과 아파 보이는 인상 때문에 그녀를 고용하려 하고 싶지 않습니다. 하지만 에버렛은 친한 고아원의 원장의 조언을 듣고, 모드를 채용합니다. 그녀의 가정부 생활은 시작부터 삐걱거립니다.
모드의 첫 그림
에버렛의 집은 엉망진창이라 모드가 손 봐야 할 곳이 많습니다. 에버렛은 워낙 성격이 급하고 불친절하여 모드는 항상 긴장을 합니다. 그래도 점차 모드는 에버렛의 집에서 적응하고, 그녀는 종종 물감을 이용해 칙칙한 집 내부를 칠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집불통의 에버렛은 심한 말로 모드의 마음에 상처를 입힙니다. 그럴 때마다 그녀는 집 내부에 조금씩 그림을 그리며 마음을 진정시킵니다.
인정받는 그녀의 천재성
어느 날 에버렛의 집에 젊은 도시 여자가 나타납니다. 그녀의 이름은 산드라(캐리 매쳇)이고, 에버렛이 배송해야 할 생선이 잘못돼서 항의하기 위해 에버렛의 집에 방문합니다. 산드라는 집 내부의 그림을 보고, 모드의 예술적 재능을 알아봅니다. 산드라는 모드에게 그림엽서를 자신에게 팔아달라고 제안합니다. 처음으로 모드는 자신의 재능을 인정받습니다. 산드라는 점점 큰 그림을 주문하고, 모드는 점점 비싸게 그림을 팔 수 있어서 기뻐합니다. 그녀가 그림을 그리는 것에 시큰둥했던 에버렛도 점점 모드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그녀의 미술 작업을 도와줍니다.
결혼과 죽음
무뚝뚝한 에버렛과 섬세한 모드는 어느덧 서로를 지탱해 주는 관계가 됩니다. 가난한 그들은 소박한 결혼식을 올리고, 진짜 부부가 됩니다. 모드의 그림 실력은 점차 알려져서, 방송 매체에 그녀가 소개되고 부통령도 그녀의 그림을 구매할 정도로 그녀는 유명한 화가가 됩니다.
하지만 그녀의 병은 그녀의 몸을 자꾸 괴롭힙니다. 심해지는 관절염은 붓을 쥐는 팔의 팔꿈치와 손가락 마디 사이에 통증을 전달합니다. 자신의 죽음을 직감한 그녀는 혼자 남을 에버렛을 걱정합니다. 그녀는 그림을 그리다가, 가장 큰 숨을 토해내며 쓰러진다. 병원에서 모드는 에베렛에게 충분한 사랑을 받았다고 말하며 그의 곁에서 세상을 떠난다. 그녀가 그린 그림이 가득한 집에서 에버렛은 쓸쓸히 그림을 판다는 입간판을 집에 들이면서 눈물을 흘린다.
장애를 뛰어넘는 자아와 사랑
영화의 내용은 장애를 갖고 있는 모드가 천재성을 발휘하기 전까지는 시청하기에 불편한 내용이 많다. 에버렛의 괴팍한 성격과 행동 때문에 모드가 마음에 상처를 받는 모습은 관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마치 장애인이 겪는 현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 같다. 그래서 초반부 내용을 보면, 모드는 낮은 자존감을 가진 여자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든다.
하지만 영화를 보고 나면 그런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는 걸 알게 됐다. 사실 모드는 그 반대로 높은 자존감과 사랑을 줄 수 있는 존재였다. 남에게 의존하는 게 아니라 자신이 자립하고 싶어서 가정부 일에 자원한 것이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의 자아와 사랑을 표현하는데 그림이라는 도구를 사용했다. 그리고 그녀는 남편인 에버렛의 본성과 결핍된 마음을 잘 알고 있었다. 그를 사랑으로 대해줌으로써, 그의 태도를 마침내 변화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영화를 보고 나서, 누가 장애인인지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게 된다. 그녀는 몸의 장애보다 더 큰 마음의 장애를 가진 에버렛을 보듬어줄 수 있는 큰 존재였다. 장애인의 위대한 사랑을 통해, 아픈 마음을 갖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몸의 장애만으로, 마음의 장애까지 판단할 수 없는 것이라는 교훈을 얻게 된다.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독한 현대인을 구출할 방법을 제시한 영화 (0) | 2023.01.18 |
---|---|
패배만 해 온 야구선수의 도전 정신을 담은 영화 (0) | 2023.01.17 |
인공지능의 감정적 발달을 보여준 영화 (0) | 2023.01.16 |
모성애의 온기로 뜨거운 눈물을 부르는 슬픈 영화 (0) | 2023.01.15 |
손짓과 표정만으로 표현된 순수한 사랑 영화 (0)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