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

고독한 현대인을 구출할 방법을 제시한 영화

by 머니 리필 센터장 2023. 1. 18.
반응형

로맨틱 영화 <Lost In Translation>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각본상을 받고, 골든 글로브에서 뮤지컬 코미디 작품상을 수상한 매우 뛰어난 수작이다. 미국의 작가 조합상도 수상할 정도로 작가들 사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영화는 큰 반전 없이 생각보다 단순한 스토리를 갖췄지만, 갖고 있는 메시지가 묵직해서 관객들의 심금을 울린다.

낯선 환경 속의 사람들

사진작가인 남편을 따라 일본에 거주하게 된 샬롯(스칼렛 요한슨)은 너무나 무료한 일상을 보낸다. 낯선 외국 땅의 풍경은 그녀에게 낯설게만 느껴진다. 그녀의 남편은 자신의 일에 몰두하느라, 샬롯에게 신경을 거의 쓰지 않는다.같은 시기, 왕년에 유명했으나 지금은 인기가 하락한 배우 밥 해리스(빌 머레이)는 위스키 광고를 촬영하기 위해 일본에 입국한다. 광고 촬영 현장에서의 일본 스태프들의 과도한 환대와 언어의 장벽 때문에 밥은 마음의 안정을 얻지 못한다. 하루라도 빨리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었지만 그는 돈이 필요했고, 일본 유명 TV 쇼에 섭외가 들어오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그는 출국을 연기한다.

대화를 나눌 상대방을 찾다

혼자 있는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밥은 호텔 바에서 식사를 합니다. 이때 그는 샬롯과 눈이 마주치는데, 동양의 나라에서 보기 힘든 서양의 미인이라 밥은 눈길을 떼지 못합니다. 샬롯은 그런 밥에게 칵테일 한 잔을 선물합니다. 밥은 미소가 머금어집니다. 객실로 돌아온 밥은 잠이 쉽게 오지 않아서, 그는 다시 바로 갑니다. 한편 샬롯도 잠이 오지 않아 방을 나옵니다. 우연히 다시 만난 두 사람은 같은 자리에 앉아서 처음으로 대화를 나눕니다. 간단히 이름과 사는 곳, 일본에 온 이유 등을 그들은 서로 묻고 답합니다. 그리고 결혼 생활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서로가 공통점이 많다고 그들은 각자 느끼며 상대의 이야기에 많은 공감을 표현합니다.

채워지는 공허함

다음날 샬롯은 남편의 업무 미팅에 참석하며 공허함을 채우진 못합니다. 회의 결과로 남편은 다른 지역으로 출장이 결정됩니다. 혼자 도쿄에 남게 된 샬롯은 호텔 로비에서 우연히 다시 밥을 마주칩니다. 그녀는 자신의 친구들과 함께 놀자고 밥에게 제안합니다. 밥은 마침 인테리어에만 관심이 많은 아내에게 서운함과 외로운 감정을 느끼던 중이었기에, 이 제안을 승낙합니다. 밥과 샬롯은 신나게 춤을 추고, 노래방에서 노래도 부르며 낯선 도시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냅니다. 둘은 어느덧 가까운 사이가 됩니다. 낯선 외국의 도시에서 그들은 처음으로 불면증 없이 잠을 푹 자며 행복함을 느낍니다.

심심한 이별

다음날에 밥은 일본 tv 쇼에 출연하는데, 어느덧 자연스럽게 일본의 문화에 적응합니다. 그리고 일이 끝나고 아내에게 전화를 하지만, 아내는 밥에게 관심이 없습니다. 밥은 오로지 아이와 집 인테리어 이야기뿐인 아내가 너무 낯설게 느껴집니다. 밥은 매일 호텔 바에서 샬롯과 시간을 보내며 섭섭한 마음을 채웁니다. 하지만 이제 그들도 함께 지낼 시간이 얼마 안 남습니다. 밥이 공항으로 가는 중, 다시 우연히 만난 그들은 마지막으로 작별의 포옹과 키스를 나눕니다. 각자의 짝이 있기에, 그들은 소소하게 서로에게 애정을 표하며, 두 사람의 이야기는 마무리됩니다.

방황하는 현대인들이 느끼는 고립

이전 세대와 비교해서, 현대인들은 사회생활을 하며 많은 사람들과 교류를 한다. 옛날 사람들은 마을 주민이나 직장 동료들로 제한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했지만, 현대인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인터넷 등을 이용해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한다. 해외와 교류하는 업무가 많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직장 동료뿐만 아니라 전 세계 동종 업계의 사람들과 교류를 한다. 양적인 인적 네트워크는 많아졌지만, 정작 많은 사람들은 우울함과 외로움을 느낀다. 질적으로 깊이 있는 소통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영화의 주인공들은 각자의 배우자와도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하고, 쇼윈도 부부처럼 지내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같이 살았기에, 그들에게 가장 가깝게 느껴져야 할 사람들이 정작 너무나 낯선 이방인으로 여겨진다. 그 원인은 소통의 부재이며, 인간관계의 밀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영화는 말해준다. 밥과 샬롯은 서로를 알게 된 지 얼마 되진 않았지만, 그들은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들은 낯선 환경 속에서 각자 고립된 인생을 살았기에, 더욱더 깊이 있게 서로의 이야기에 그들은 흠뻑 빠질 수 있었다. 밀도가 깊은 소통이 가능한 것이었다. 영화는 이렇게 고립된 환경 속에서 방황하는 모습의 현대인을 보여주며, 그 현상을 해결할 방법을 넌지시 제시한다. 짧은 시간이라도 깊이 있게 자신을 이해해 주려는 한 사람이 현대인 모두에게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